장프랑수아 밀레의 <이삭 줍는 사람들>이라는 그림에서 시작해 추수가 끝난 대지에 남아 있는 농산물이나 과일들을 줍는 사람들, 개펄에서 조개를 줍는 사람들, 도시의 쓰레기통에서 주운 음식들만 먹고 살아가는 사람들, 그리고 버려진 물건들을 모아서 작품을 만드는 재활용 미술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대상들을 수집하는 사람들의 모습들이 보여진다. 쓸모 없어 보이는 파편더미들 속에서 새로운 가치와 진실들이 발견되기도 하고, 무의미한 대상들이 놀라운 예술작품으로 변모하는 과정이 펼쳐진다. 아녜스 바르다는 마치 일기를 쓰듯이 정겹고 주관적인 형식으로 영화를 구성해 간다. 버려진 것들을 주워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가난한 촌부나 도시의 홈리스 등에 대한 묘사가 프랑스 사회 내부의 모순들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면, 재활용 미술가나 환경운동가와 같은 사람들의 목소리를 통해서는 현대 사회의 과도하고 무분별한 소비성이 비판되기도 한다.

이란 북부의 나병 환자 병동에서 촬영한 영화는 범사에 감사하는 종교적 삶을 세상에 넘쳐나는 추함과 대비시킨다.

자연과 교감한다는 건 무엇을 뜻하는가? 영화는 감독의 84세 아버지에게서 그 답을 찾는다.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 산속 집으로 들어가며, 자연의 가장 작은 생명에서부터 그가 자란 웅장한 대자연에 이르기까지.

샹탈 아커만을 포함해 코스타 가브라스, 미셸 피콜리 등 33명의 감독들이 모여 30개국의 양심수들을 사면할 것을 주장하며 제작한 옴니버스 영화. 샹탈 아커만은 5분 길이의 단편 "엘살바도르의 페베 엘리자베스 벨라스퀘즈를 위하여"를 연출했다.